정보유출방지 솔루션(Data Loss Protection)
개요
- 사내 중요문서 탐지 및 저장 매체, 응용프로그램 등을 통한 문서 유출 차단
- 개인정보보호법 기술적 보호조치 규제 준수(암호화, 문서 유출 통제 등)
- 문서 유출 기록을 통한 책임추적성 확보
도입 필요성
- 사내 중요문서를 사전에 탐지하고, 문서 유출 차단을 통한 기술유출 방지
(USB, 웹하드, 이메일, SNS, 메신저 등 인터넷을 통한 문서 유출을 차단)
- 중앙 관리를 통한 관리 효율성 증가
- 문서 유출 기록을 통한 책임추적성 입증
- 문서 내 개인정보 보유 여부에 따른 문서 암호화 지원
데이터 유출 보호
- 파일 종류에 따른 탐지 및 차단
- 다양한 유출경로에 대한 탐지 및 차단
(저장장치, 공유폴더, 웹 브라우저, 이메일, 메신저, 클라우드, P2P, FTP, 토렌트, 휴대폰 등)
- 반출 파일 추적, 사본 보관, 감사로그를 통한 책임추적성 보장
매체제어
- 주변기기 사용 제어
- 주요 포트 및 매체 통제
- 모든 매체의 데이터 교환 기록 및 보고
- USB 저장장치를 통한 자료유출 방지
- USB 저장장치를 통한 중요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, 분실 자료 보호
개인정보 보호
- 개인정보가 포함된 문서 탐지 및 유출 차단
- 개인정보가 포함된 문서 암호화
- 개인정보 키워드 및 정규표현식 지원
- 개인정보보호법 기술적 보호 조치 준수
DB접근제어
개요
-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비인가 사용자 접근 차단
-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접근 통제 및 실행 로그 보관을 통한 감사 지원 및 법적요구사항 준수
-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별 권한 통제를 통한 중요정보 접근 및 유출 차단
도입 필요성
- 사용자에 대한 보안성 강화 및 내부유출 사고 예방
- 데이터베이스 접속 이력 감사 및 사용권한 통제를 통한 보안성 강화
- 내부자 및 외주 개발 업체에 의한 비인가 접속 방지 및 중요정보 접근 감사
- 데이터베이스 보안관리에 대한 유연성 및 효율성 확보
감사
- 접속 세션 모니터링 및 감사로그 저장
(접근 현황 모니터링, 사용자 식별, SQL정보 등)
- 감사 데이터에 대한 무결성 보장
- 다양한 조건 검색기능 제공
- 컴플라이언스 준수
접근통제 및 정보 유출 방어
- 사용자, 그룹 관리
- 사용자 DB 직접접속 통제
- 보안 정책 설정(결재, 차단, 경보)
- 다양한 결재 방식 제공
네트워크 접근제어 솔루션(Network Access Control)
개요
- 인가되지 않은 장비 및 사용자에 대한 접근을 통제하여 안전한 네트워크 구현
- 다양한 형태의 제어 및 단계적 검증을 통한 내부 네트워크 보안 강화
- 가시성 확보를 통한 관리 효율성 확보
도입 필요성
- 사내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IT 자산 식별을 통한 가시성 확보
- 비인가 단말 및 사용자에 대한 접근통제 구현
- 가시성 확보를 통한 자산관리 효율성 증가 및 보안수준 향상
- 다양한 솔루션과의 연동으로 보다 효과적인 관리 및 대응체계 구축
네트워크 관리
- 비인가/방문자 단말 네트워크 사용 통제
- 단말 상태에 따른 노드 그룹 분류 및 관리
- 무선 네트워크 인증/접근 감지 및 차단
- IP/MAC 감지, 제어(시간, 예약 등), 충돌보호
- IP 실명제 및 이력관리
- DHCP서버 지원
단말관리
-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 종류, 운영체제, 동작상태 자동 감지 및 식별
- PC 정보 수집을 통하여 보안설정 관리
내부 보안 정책
- 내부 PC 자산정보 수집 및 모니터링
- 운영체제, 폐쇄망, 오프라인, 사용자별 패치관리 기능
- 정보보호솔루션 연동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 보안관리
- 관리자가 금지한 프로그램 강제삭제
- 감사기록, 실시간 로그, 이벤트 모니터링 지원
사용자 관리
- 인증시스템 연동을 통한 사용자 제어
- Captive Web Portal 사용자 인증 제공
- Active Directory, RADIUS, SSO 인증 정보 연동
- 임직원정보 DB 동기화 지원
(Oracle, MySQL, MSSQL, LDAP, CSV)
통합위협관리 솔루션 UTM
개요
- 기기, 네트워크, 애플리케이션 종류 관계없이 유연한 배포 제공 및 분산된 환경을 위한 IT 인프라 단순화
- 여러 보안기능의 통합관리를 통한 가시성 및 운영 효율성 확보
- 침입 보호, 웹 필터링, 안티멀웨어, 애플리케이션 제어 등의 포괄적인 위협으로부터의 보호
도입 필요성
- 정책 기반의 접근통제와 식별 및 인증을 통한 정보자산 보호
- 안정적인 네트워크 환경 제공 및 TCO 절감
- 기기, 네트워크, 애플리케이션 종류 관계없이 통합 적용되는 침해방지 기능
- 직관적 운영체제를 통한 가시성 보장으로 용이한 관리 지원
- 분산된 환경을 위한 IT 인프라 단순화와 네트워크 보안 어플라이언스 제공
다양한 보안기능 지원
- Anti-Virus / IPS / Application Control / Web-Filter / Botnet C&C IP block / Network DLP
자동화를 통한 지속적 위험 평가
- 자동화된 워크플로우와 감사 기능을 통해 보안 업무 및 규정 준수 지원
엔터프라이즈급 보안 관리
- 단일 대시보드에서 일관적인 보안정책 제공으로 가시성이 강화된 보안 자산 관리
애플리케이션 제어
-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시간 감시를 통해 보안강화 및 규정 준수
- 애플리케이션 또는 카테고리에 대한 신속한 정책 적용 및 접근 권한 설정
웹 필터링
- 해킹된 웹사이트 또는 부적절한 웹사이트에 액세스 차단
- 웹 사이트를 통한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 패턴을 등록하여 패턴 기반 공격 방지
안티 바이러스
- 최신 바이러스, 스파이웨어, 기타 콘텐츠 수준의 위협으로 부터 보호
- 감지 엔진을 이용하여 알려진 또는 알려지지않은 위협에 대응
침입 방지(IPS)
- 위협 정보 공유를 통해 신속하고 자동화된 보호 기능 제공
Botnet C&C IP block
- 악성 소스 IP 데이터를 수집하여 해당 IP로부터 수행되는 공격을 사전차단